
전국 공연장의 건축음향 및 전기음향 설치 사례집을 편찬함으로써 대한민국 공연장 설치 사례를 총정리하고 3세대 신 공연장의 지표를 제시하는 데이터베이스로 사용됨은 물론 새로운 공연장 문화를 열어가는 선도적 역할을 수행합니다.



건축음향 측정 분석 요약
광주시문화재단은 광주시민들에게 수준 높은 문화예술을 향유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20년 광주시 회안대로 891에 설립되었다. 광주시문화재단 산하의 남한산성아트홀은 광주시를 대표하는 공공 공연장으로, 1,038석 규모의 대극장과 266석 규모의 소극장을 보유하고 있다. 두 극장은 모두 전형적인 프로시니엄 극장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
2024년 11월 11일, SSM 제작국에서 남한산성아트홀 대극장의 음향 특성을 측정하였다. 이번 측정은 음향 반사판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대극장 객석 1층 6개 지점, 2층 2개 지점, 총 8개 지점에서 진행되었으며, 이를 평균한 결과이다.
□ 건축 음향 특성 요약
1. 측정 개요
- 측정은 공석 상태에서 음향 반사판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로 진행되었으며, 객석 8개 지점과 무대 3개 지점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 분석 항목: EDT, T30, BR, Ts, C80, D50, STI, LF, ST 및 주파수 응답 특성 레벨 편차.
- 사용 음원: 무지향성 스피커.
- 측정 신호: Sweep 신호 3회 반복으로 S/N 비율을 향상.
2. 잔향 특성
- 500Hz 기준 평균 EDT: 1.67초, T30: 1.78초로 측정.
- 참고: 잔향값(1.6초~1.8초)은 초기 고전 음악 공연에 적합한 수준으로 평가됨.
3. 저음 비율(BR)
- 측정값: 1.09.
- 참고: 음악 공연에서는 1.1~1.25, 음성 공연에서는 0.9~1을 권장.
4. 명료도
- Ts: 83.18ms, C80: 3.53dB, D50: 56.49%.
- STI: 0.61로 음성 전달에 적합한 수준.
- 명료도 값은 클래식 음악보다는 연극과 같은 음성 중심 공연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됨.
5. 실내 공간감 (LF)
- 측정값: 0.25.
- 참고: 콘서트홀의 바람직한 권장 범위는 0.25~0.4이며, 이는 공연장으로서 이상적인 공간감을 제공.
6. ST (Stage Support)
- ST1: –20.79 (연주자 간 모니터링 척도).
- ST2: –15.61 (무대에서 잔향음 영향을 측정).
- 참고: ISO 3382-1 기준에 적합한 값의 범위는 –24dB < ST1 < -8dB이며, 남한산성아트홀 대극장은 유사 규모의 프로시니엄 공연장과 비슷한 수준.
7. 주파수 응답 특성
- 객석의 500Hz 기준 음압 레벨 편차: ±3dB 이내.
- 이는 객석 간 음향의 균일도가 우수함을 나타냄.
이번 측정 결과는 남한산성아트홀 대극장이 다양한 공연 장르에 적합한 음향 환경을 제공하며, 특히 음성 중심 공연에 더욱 적합한 특성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건축음향 측정 파라미터 결과 종합
주관적 설명 | 파라미터 | 대극장 |
잔향 시간 | EDT(s) @500Hz | 1.67 |
T30(s) @500Hz | 1.78 | |
BR | 1.09 | |
명료도 | Ts(ms) | 83.18 |
C80(dB) | 3.53 | |
D50(%) | 56.49 | |
STI | 0.61 | |
공간감 | LF | 0.25 |
무대 모니터 환경 | ST1 | -20.79 |
ST2 | -15.61 |
대극장 측정 지점별 파라미터 비교


















남한산성아트홀 대극장(1,038석)
측정 │성재훈, 안상룡